-
4명의 팀원들과 미니 프로젝트로 스케쥴러를 만들기로 하였다.
1.와이어프레임
참고할 레퍼런스 첫번째로 들어올 로그인 화면, 회원가입화면
로그인 후 내가 추가해 두었던 스케줄들을 볼 수 있다.
삭제버튼을 누르면 삭제화면이 활성화 된다.
추가 버튼을 눌러서 스케줄들을 추가 할 수 있다.
추가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스케줄 편집 화면 날짜를 요일별로 월-일까지 선택할 수 있게하고 매주를 클릭하면 내 스케줄들을 볼 때 완료가 되어도 없어지지 않게 계속 띄워줘야 한다.
템플릿은 오늘 할일, 식단, 운동으로 나누는 것으로 생각해보았다.
*템플릿 별로 화면을 다르게 할 것인지 내일 다시 논의해 보는 게 좋을 것 같다.
기능별로 분담을 해서 나는 수정페이지를 맡게 되었다.
이렇게 구현하여서 서버와 연결해서 [post]로 db에 저장하는 것 까지는 됐는데..
시간에서 드롭바에 각각 id값을 주어서 app.py에서 두개의 값을 받아서 저장시켰다.
(잘한거겠지...?)
let time1 = $('#schedule-time1').val(); -->시간
let time2 = $('#schedule-time2').val(); -->분//시간과 분을 각각 time1,time2로 id값을 줘서 불러왔다.
time1_give: time1,
time2_give: time2,//데이터에 저장해주기.
//html
<select id="schedule-time1" name=hourOpt onChange="alarmSet()" size=1>
<option value="00">00
<option value="01">01
<option value="02">02
<option value="03">03
<option value="04">04
<option value="05">05
<option value="06">06
<option value="07">07
<option value="08">08
<option value="09">09
<option value="10">10
<option value="11">11
<option selected value="12">12
<option value="13">13
<option value="14">14
<option value="15">15
<option value="16">16
<option value="17">17
<option value="18">18
<option value="19">19
<option value="20">20
<option value="21">21
<option value="22">22
<option value="23">23
</option>
</select>
<select id="schedule-time2" name=minOpt onChange="alarmSet()" size=1>
<option selected value="00">00
<option value="01">01
<option value="02">02
<option value="03">03
<option value="04">04
<option value="05">05
<option value="06">06
<option value="07">07
<option value="08">08
<option value="09">09
<option value="10">10
<option value="11">11
<option value="12">12
<option value="13">13
<option value="14">14
<option value="15">15
<option value="16">16
<option value="17">17
<option value="18">18
<option value="19">19
<option value="20">20
<option value="21">21
<option value="22">22
<option value="23">23
<option value="24">24
<option value="25">25
<option value="26">26
<option value="27">27
<option value="28">28
<option value="29">29
<option value="30">30
<option value="31">31
<option value="32">32
<option value="33">33
<option value="34">34
<option value="35">35
<option value="36">36
<option value="37">37
<option value="38">38
<option value="39">39
<option value="40">40
<option value="41">41
<option value="42">42
<option value="43">43
<option value="44">44
<option value="45">45
<option value="46">46
<option value="47">47
<option value="48">48
<option value="49">49
<option value="50">50
<option value="51">51
<option value="52">52
<option value="53">53
<option value="54">54
<option value="55">55
<option value="56">56
<option value="57">57
<option value="58">58
<option value="59">59
</option>
</select>!옵션 짱많음..!
다른 분이 블로그에 올려두신 코드를 참고했다.
api는 post
@app.route('/schedule', methods=['POST'])
def save_schedule():
date_receive = request.form['date_give']
time1_receive = request.form['time1_give']
time2_receive = request.form['time2_give']
option_receive = request.form['option_give']
title_receive = request.form['title_give']
content_receive = request.form['content_give']
doc = {
'date': date_receive,
'time1': time1_receive,
'time2': time2_receive,
'option': option_receive,
'title': title_receive,
'content': content_receive
}
db.members.insert_one(doc)
return jsonify({'msg': '저장이 완료되었습니다!'})저장해야할 것은 날짜, 시간, 분 , 스케줄템플릿, 제목, 내용..
체크박스는 어떻게 저장하지..?
+또 배운거
//체크박스 html
<div class="check-box">
<form method="get" action="form-action.html"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color"> 월</label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color"> 화</label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color"> 수</label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color"> 목</label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color"> 금</label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color"> 토</label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color"> 일</label>
<label><input type="checkbox" name="color"> 매주</label>
</form>
</div>*체크박스들을 어떤 식으로 db에 저장해야 할지 의문이다...
시간의 드롭바 저장한 것처럼 각각의 값을 받아와도 되는지...?
*html이 문제..옵션이 있는 인풋바를 없애니 서버와 연결이 잘 안된다. 뭐가 잘못된건지 다시 확인해야함.
*html먼저 수정해야 될 것 같다..(날짜와 시간)
git으로 협업하는 방법도 배웠다!
용어들을 정확히 다시 인지해야겠다.
repo(repository): 로컬과 원격
-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.
- 내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리포지토리: 로컬 repo(local repository)
- Github 처럼 다른 곳에서 접속할 수 있는 공간에 저장되어있는 것을 원격 repo(remote repository)
- push는 보내는 것, pull은 받아오는 것이라고 생각하자.
commit
- 누가, 언제, 파일상태, commit메시지 정보를 포함
Branch
- 나뭇가지가 뻗어나오듯 기능에 맞게 나누어 작업할 수 있다.
- 작업은 바로 main branch에 추가X
작업순서
1. local repo의 main branch에서 pull받기
2.작업 branch생성하기
3.작업하기
4.commit하기
5.push하기
6.원격 repo에서 PR만들기
7.merge하기(합치기)
오늘의 느낀점!
처음 뭔가 시작할 때 항상 좀 느린 거 같다...손도 느리고 이해도 느리고ㅜㅜ
조금 우울하지만 느린만큼 다른 분들보다 더많이 노력하면 될거라고 생각하고 화이팅해야겠다!